확진자 수 195만 1096명, 사망자 수 11만 770명. 6월 10일 현재 미국의 코로나19 피해 현황이다. 코로나19는 미국의 소비 트렌드를 바꿔놓았다. 코트라(KOTRA)는 최근 ‘코로나19가 바꾼 미국 소비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e커머스 활성화 ▲집에서, 따로 또 같이 ▲생활방역 시대의 도래 ▲정신건강을 지켜라 ▲buy local 열풍 등을 주요 트렌드로 꼽았다. 미국은 3월 중순 셧다운 이후 10주간 4천만명 이상 실업자 발생, 4월 실업률 14.7%로 급증했으며 소매판매는 전월비 16.4% 급감했다. 5월 중순부터 주정부 별로 단계적 경제재개를 시작했으며, 현재 50개 주가 동참했다. 연방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 마련, 연준은 제로금리 향후 3년간 유지 등을 선언하며 전폭적인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물지표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경제회복은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구매패턴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바뀌며 구매의 디지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다. 신선식품, 자동차, 가구 등 온라인을 통한 제품 구매 영역은 더욱 확대되고 성장함에 따라 온라인 소비자 쇼핑을 돕는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5월 화장품 수출액이 5.72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2% 감소에 그쳤다. 2개월 연속 전년 대비 감소세다.(3월 –0.1%)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수출이 전반적으로 어려운 가운데 선방했다는 평가다. 화장품이 비내구성 소비재임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게다가 1~25일까지의 관세청 신고액이어서 감소폭은 더 줄어들 여지가 있다. 산업통상부는 “①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안용품·목욕용 제품 등 호조에도 불구하고 ②아세안·EU·인도 지역 중심으로 두발용 제품·향수 등이 부진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전체 화장품 수출은 ‘19년 5월의 5.8억달러(△2.8%)에 비해 1.6%p 감소하며 오히려 소폭 증가한 셈이다. 이로써 1~5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29억달러를 기록하게 됐다. 아직 국가별 수치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코로나19 영향에도 1~4월 화장품 누적 수출액은 23.4억달러(+11.8%) 증가하며 순항 중이다. 그 원인은 역시 화장품 수출의 63%(3월)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의 온라인 소비 회복세 때문이다. 실제 중국의 1~4월 온라인판매는 1.7% 증가하여 1~3월(△0.8%)의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다. 특히 화장품은 △11.6% → 3.
산업통상부 조사(오프라인 13사+온라인 13사)에 따른 주요 유통업체의 4월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3.9% 증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5.5% 감소한 대신 온라인 유통업체는 16.9% 증가했다. 오프라인은 백화점(△14.8%)-SSM(△2.6%)-편의점(△1.9%)-대형마트(△1.0%) 순으로 매출 감소폭이 컸다. 소비자들이 대형매장 방문을 자제하고 거주지 근처 슈퍼마켓 이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유지되며 외출 자제에 따른 매장방문 감소로 인해 오프라인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온라인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소비의 확산이 지속되며 매출 증가세가 지속됐다. 상품군별로는 패션/잡화(△19.2%), 서비스/기타(△8.2%) 등 외부활동 관련 상품 매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가전/문화(21.3%), 생활/가정(12.1%), 식품(10.2%) 등 가정생활 중심의 소비재 품목 매출은 증가했다. 온라인 유통에서는 코로나19로 구매가 증가 추세로 식품(56.4%), 생활/가구(23.9%)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출과 여행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지속되며 패션/의류(△8.8%), 서비
코로나19 발생 이후 17주차에 이르러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의 매출 회복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월 3일 이후 매주 실시하는 ‘소상공인 매출액 조사(17주차, 5. 25)에서 화장품의 경우 17주차에 48.3% 감소율을 기록해 12주차(68.7%)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사업장 300개, 전통시장 220개 내외를 대상으로 패널조사를 진행했으며, 코로나19 확산 이전 대비 매출액 변화 추이를 조사하고 있다. 먼저 소상공인의 매출액 감소비율은 2월 3일 20.8%을 기록한 이후 4월 6일 69.2%로 가장 큰 폭 감소했다. 코로나19 발생 여파가 소상공인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4월 초부터 소상공인 매출이 조금씩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가 5월 초 이태원 클럽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직후 서울, 경기, 인천 등 지역의 소상공인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최근 5월 25일 조사에서는 45.3%를 기록해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매출액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최근 긴급재난지원금, 온누리·지역사랑 상품권 등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
올해 1~4월 화장품 수출 10대국의 순위가 요동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집계한 화장품 월별 수출입추이를 보면 1~4월 누적 수출액 상위 10대국은 중국-홍콩-일본-미국-베트남-러시아-대만-싱가포르-태국-말레이시아 순이었다. 2019년에 비해 3위는 일본과 미국이, 8위는 싱가포르와 태국이 자리를 맞바꿨다. 특히 일본의 상승세가 놀랍다. ‘20년 1월부터 미국을 추월하더니 4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하며, 2위 홍콩을 제치는 기염을 통했다. 1~4월 누적 수출액으로는 일본(1억 9703만달러)이 홍콩(2억 7705만 달러)에 밀렸으나 그 차이는 불과 7천여만 달러로 좁혀졌다. 주목할 것은 일본의 수출증가율이 전년 대비 58.5%로 급증세인데 비해 홍콩은 –17.7%로 하락세다. 올해 연말에는 순위가 바뀔 것이 확실시 된다. 미국 수출액은 1~4월 누적 증가율이 1.2%에 그치며 여전히 고전 중이다. K-뷰티의 북미시장 진출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5위 자리를 놓고 베트남과 러시아의 앞서거니 뒤서거니 순위 다툼이 치열하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4월 싱가포르가 93%나 증가하며, 일약 8위에서 5위로 뛰어오르는 이변을 연출했다. 향후 5위를 놓고
‘존버’라는 말이 있다.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존경 받는 그날까지 버티다'라는 뜻으로 소설가 이외수가 2012년 한 말로 알려져 있다. "존재를 걸고 버티다", ”견디고 또 견딘다“, ”엄청 힘든 과정을 거치거나 참는 상황에서 하는 말“ 등으로 쓰인다. 화장품 기업 사이에 ’존버‘가 절실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1분기 화장품 경기는 오프라인 매출 감소분을 온라인 판매로 커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대신 손 소독제와 손 세정제, 비누, 클렌징용품 등으로 전체적으로 마이너스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수출도 3월 7.7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1~4월 누적 23.4억달러(+11.8%)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1 2분기 실적 빨간 불 하지만 5월 들어 부정적인 신호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2분기 들어 기초 주문이 일부 있을 뿐 색조는 눈에 띄게 발주가 줄었다. 대신 클렌징류 등 홈뷰티용 제품으로 버티는 중”이라는 ODM업체 관계자의 말이 상황을 대변해준다. 손 소독제, 손 세정제도 포화상태라는 전언이다. 화장품 팔 곳도 구조조정으로 감소 중이다. 명동의 매장들도 휴업 내지 폐점 분위기다. 한 매장 관계자는 “거리에 다니는 사람이 없는데 무슨 장사가 되겠나? 중
2020년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한 73억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보건산업진흥원이 예측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1/4분기 화장품 수출액이 17.7억달러(+16.3%)를 기록, 당초 코로나19 여파로 수출 위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선전했다”고 분석했다. 그 이유로 ▲손 세정제가 포함된 ‘계면활성제품과 조제품(0.6억달러, +64.0%)’이 코로나19의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으로 큰 폭 증가 ▲국내 화장품산업은 온라인·모바일 대중화에 따른 유통채널 확대로 내수뿐 아니라 수출 활성화 기대 ▲중국·홍콩 등 중화권 외에 잠재력 있는 신시장 수출국 다변화로 수출 증진 기여 등을 꼽았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수출은 3월 +63% 증가에 힘입어 1분기에만 8.4억달러를 기록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대 홍콩 수출은 1분기 10.2% 감소하며 둔화됐지만 3월 들어 9.0% 반등하는 등 회복세가 주목된다. 특히 주목할 국가가 대 일본 수출로 1분기 성장률이 +42.6%로 증가하며 작년까지 4위였던 순위를 미국을 제치고 3위로 끌어올렸다. 이밖에 캐나다(+42.3%) 및 러시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남·북방 지역의 수출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4월 화장품 수출액은 5억 7300만달러로 전년 대비 0.1% 감소해 선방했다는 평가다. 산업통상부의 20대 주요 수출 품목 중 마이너스 품목 16개 중에서 상대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다. 산업부의 4월 수출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4월 수출액은 369.2억달러로 24.3%나 감소했다. 산업통상부는 큰 폭의 수출 감소는 단가하락(-15.0%) 때문이며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물량은 △2.9%였다. 하지만 화장품의 일평균 물량은 +15.7%를 기록하며, 전달(3월)의 +44.2%에 이어 견조한 오름세를 유지했다. 지역별로는 미국 0.4억달러(+9.9%), 일본 0.5억달러(+87.7%), 베트남 0.1억달러(+5.5%) 등이 호조였다.(중국지역 미발표) 품목별로는 두발용제품, 세안용품이 증가세인데 비해 기초화장품, 향수 등이 부진해 전체 화장품 수출은 소폭 감소했다. 최근 4년간 화장품의 4월 수출액을 보면 ‘18년 4월 기저효과가 컸음을 알 수 있다.[‘17.4 3.5억달러(△2.9%) → ’18.4 5.8억달러(+68.1%) → ’19.4 5.7억달러(△1.8%)→(‘20.4)5.7억달러(△0.1%) ]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