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열린 제57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코스메틱 전문 무역회사인 ㈜아시아비엔씨(대표 황종서)가 2천만불탑을 수상했다. 아울러 김영화 이사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받는 등 겹경사를 맞았다. ㈜아시아비엔씨는 2016년 설립 이래 ’18~21년 코스메틱 ‘전문무역상사’로 지정됐으며 ‘롬앤’ 등 우수한 중소기업 브랜드를 주력으로 최근 3년간 매년 매출 두 배, 수출액 세 배씩 성장해 업계를 놀라게 했다. 2019년 700만불탑을 받은 지 1년만에 2천만불탑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올해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글로벌 이커머스의 활성화에 힘입어 연초 목표 매출 500억원을 초과 달성하는 등 호조다. 또 지난 5월 ㈜아시아비엔씨는 ‘글로벌 강소기업’에 선정되면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평가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수출기업 중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 단연 ㈜아시아비엔씨다. 일본에서 선풍적 인기가 알려지면서 중국 온라인에서도 화제다”라고 전했다. 실제 코트라(KOTRA) 오사카무역관에 따르면 “오사카의 한인타운에는 주말마다 손님이 붐빈다. 20대가 좋아하는 한국의 히트상품 중에 스킨케어부문 1위에 오른 롬앤의 립틴트는 마스크에 묻지 않는 립스틱으로 인기를
8일 코엑스에서 열린 제57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화장품 업계 최초로 LG생활건강이 10억불탑을 수상하는 등 74개사가 각종 수출의 탑을 받았다. 또 LG생활건강 이형석 부사장이 동탑산업훈장을 포상받는 등 27명이 정부포상을 받았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로나19의 위기상황 속에서도 수출은 3분기부터 회복, 4분기에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12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390억불) 달성과 더불어 신수출 성장동력 품목들의 약진과 수출기업 다양화 등 수출구조의 질적 개선 및 고도화 성과를 도출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유망소비재인 화장품은 매년 달성하던 연간 최대실적 경신 흐름을 이어가며 ‘20 1~11월 69억불로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고 강조했다. 수출의 탑 주요 수상 기업을 보면 △10억불탑 LG생활건강 △2억불탑 해브앤비 △1억불탑 콜마비앤에이치 △5천만불탑 (주)다미인 △3천만불탑 ㈜이시스코스메틱 등 6개사 △2천만불탑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시아비엔씨 등 7개사 △1천만불탑 뉴앤뉴, 코스알엑스 등 10개사 △7백만불탑 명인화장품, 아이썸코리아 등 9개사 △5백만불탑 ㈜울트라브이, 팜스킨 등 14개사 △3백만불탑 우신화장품 등 6개사 △1백만불탑 뷰
베트남 호치민에서 K-뷰티 전문매장 ‘C#shop’을 운영 중인 코스엔코비나(대표 조안나)가 ‘2020 서울메이드 파워 인플루언서 파티’를 지난달 28일 현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메이드(Seoul Made)’는 서울산업진흥원(SBA)에서 출범한 중소기업 지원 유통 플랫폼 브랜드다. 서울산업진흥원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중소기업 판로 지원 강화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 △MZ세대 홈코노미 △온택트 시대의 가상 테이블 수출 상담 △서울메이드 브랜드 등 네 가지 키워드에 부합하는 사업의 하나로 서울메이드 협력 매장으로 호치민의 코스앤코비나와 협업을 맺었다. 주요 참여 브랜드는 스킨미소·베리썸·아토팜·코코스타·굿데이·자비드인서울 등 20개사다. MC는 팔로워 수 12만여 명의 쾅탐(Mc Quang Tam)이 맡았고 팔로워수 10~15만명의 유명 인플루언서 15명 및 초청인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15명의 인플루언서들은 부스를 순회하며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 K-뷰티의 우수 화장품을 현지 소비자에게 알렸다. 동시 접속자 수가 100만명이 넘었다고 코스앤코비나는 밝혔다. COS & KO VINA
2021년 화장품 수출액이 8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무역협회는 ‘2020년 수출입 평가 및 2021년 전망’ 보고서에서 “21년 화장품 수출액은 80억 5900만달러, 전년 대비 +10.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보건산업진흥원 자료 인용) 다만 최근 발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1~11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68.9억달러(+15.7%)여서, ‘20년 수출액은 75억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보수적으로 10% 증가세를 반영해도 80억달러 초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20년 화장품 수출 동향에 대해서는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유통되던 화장품이 언택트 시대에 발맞추어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역별로는 중국 및 일본의 한류 영향 및 온라인 유통망 확산에 따른 화장품 수요 증대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20년 1~10월 중국(50.1%)·일본(8.5%)의 점유율은 60%에 육박한다. 중·일의 화장품 수요 개선이 지속되리라는 예상이다. 무협은 2020년 수출입 7대 특징의 하나로 꼽으면서 “화장품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14.6% 수출이 증가했다”
화장품은 글로벌 공통의 언어였다. 지난달 25일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과 ㈜넥스트앤넥스트가 공동 주관한 25개국 매칭 포인트인 ‘글로벌타운 무역전시관’에서 셀러의 만남이 접속됐다. 언어가 달라도 아름다움의 산물 ‘화장품’에 대한 관심만으로도 충분히 소통됐다. 각 나라마다의 미에 대한 관념, 취향, 감각, 향에 대한 기호만 조금씩 다를 뿐 ‘아름다운 피부 건강’의 중요성은 익히 아는 듯했다. 보떼화장품의 김시현 대표는 “제품에 대해 자세하게 물어봐주니 반가웠다. 코로나 때문에 위축됐지만 열정적으로 제품에 관심을 가져주는 셀러들을 보면서 의욕이 되살아나는 느낌”이라며 교육 분위기를 대변했다. 해외 바이어 만나기가 어려워 돌파구가 필요했었는데 조금이나마 실마리를 푼 느낌이란다. 은근히 성과도 기대된다는 귀띔도 보탰다. 보떼화장품은 기미(melasma)·잡티·주근깨 등 멜라닌 색소를 완화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다수 출품했다. 솔리두스팩토리 이병전 대표는 다양한 품목으로 셀러들의 주목을 받았다. 마스크만 300여 종, 손세정제 20여 종 모두 FDA 인증을 받았다. 코로나키트와 뷰티 디바이스도 소개해 흥미를 자아냈다. 이날 업체와 셀러의 통역을 맡은 모
11월 누계로만 화장품 수출액이 사상 최고의 연간 수출실적을 달성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1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의 1~11월 누적 수출액은 68.9억달러로 작년(65.4억달러) 실적을 넘어섰다. 누적 증가율도 +15.7%로 작년(4.3%)에 비해 급증했다. 11월 수출액은 7.5억달러로 전년 대비 25.4% 증가했다. 이로써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①K-뷰티에 대한 평가 및 관심이 높아지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 ②메이크업·기초화장품, 기타 화장품 수출 호조 ③중국·미국·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40%대 이상 높은 증가세 등”을 특징으로 꼽았다. 품목별로 보면 △메이크업·기초화장품 5.27억달러(+34.8%) △기타화장품 0.62억달러(+34.1%) △세안용품 0.22억달러(+58.2%) 등 향수·화장수(-23.8%)를 제외하곤 호조를 보였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 3.4억달러(+40.4%) 미국 0.5억달러(+49.1%) 일본 0.5억달러(+53.0%) 아세안 0.5억달러(+9.0%) 등 수출 20대국에서 큰 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중국은 최근 솽스이(双十一)에서 K-뷰티가 소비자 선호국가 3위에 오른데 힘입어 주요 기
화장품 제조·유통 B사는 코트라(KOTRA)의 ‘성과결산 화상상담회’를 통해 100만달러 수출 협약을 25일 체결했다. 루마니아는 K-뷰티의 수요가 늘면서 올해 1~10월 누적 수출액 435만달러로 전년 대비 273% 급증했다. 루마니아의 경우 그동안 서유럽 바이어를 통한 간접거래가 많았다. B사는 이번 MOU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직접 수출을 추진한다. 현지 홍보를 진행할 예정으로 향후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이렇듯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월부터 코트라가 시행한 ‘화상상담’이 3만건을 넘을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코트라에 따르면 온라인 상담횟수는 3만 1020건이었다. 해외바이어 84개국 1만 4341개사와 국내 기업 7708사가 수출상담에 참가했다. 코트라는 화상상담회 참가 바이어를 상대로 사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과결산 화상상담회’를 11월부터 실시 중이다. 온라인 상담은 한번에 계약하기 어려워 참가 바이어 전수조사를 통해 후속 상담을 지원, 353건이 진행됐다. 코트라는 연내 1천 건 이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계약이 이뤄진 건수는 446건, 7255만달러에 달한다. 지난 8월의 수출 성약 219건에 비해 3개월 만에 22
중국 NMPA가 치약을 화장품에 포함하되 새로 ‘치약감독관리방법’으로 수렴, 내년 상반기 중에 발표한다. 최초 ▲1989년 ‘화장품위생관리조례’에서는 화장품 범위가 아니다, ▲2005년 ‘공업제품생산허가증관리조례’에서는 ‘화장품생산허가증’ 취득, ▲2007년 AQSIQ(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화장품표시관리규정’에 치약을 화장품 포함, ▲2013년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구(CFDA) 치약 생산기업 ‘화장품생산허가증’ 취득해야 하지만 화장품 관리범위는 아니다 등으로 혼란을 불러왔었다. 11월 13일 중국 NMPA(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화장품감독관리조례’에서 관리하되 2021년부터는 ‘치약기사용원료목록’과 신원료 등재가 된 원료를 사용하고 NMPA 지정 플랫폼에 등록해야만 중국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된다”고 확정했다. 본 관리방법은 12월 12일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시행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치약감독관리방법’은 총 23조로 구성됐다. 3조 치약의 정의, 4조 치약 관리감독 책임과 의무, 8조 신원료 정의와 판정근거 제정, 9조 기사용원료의 관리요구사항과 신원료 감독관리의 특수성, 10조 기존 치약생산허가제도와 화장품생산허가증 발급 적용, 11조 치약 등록 제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