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이 5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8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온라인 매출액은 1조71억원(+14.1%)로 다시 1조원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의 기저효과에 휴가철을 맞아 여행 등 외출 활동 증가와 맞물려 2달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 5월에도 1조원대를 기록하며 외부 활동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산업부의 ‘8월 유통동향’에 따르면 생필품류의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며 기능성 화장품 판매 호조 등으로 14.1%, 증가했다고 밝혔다.(12개 대형 쇼핑몰 조사) 대형 마트의 경우 전체 매출(14.8조원) 중 온라인 매출은 50.8%였다. 이중 화장품 비중은 5%로 3760억원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12개 대형 쇼핑몰[G마켓글로벌(G마켓‧옥션), 11번가, 인터파크, 쿠팡, SSG(이마트‧신세계), 에이케이몰, 홈플러스, 갤러리아몰, 롯데마트, 롯데온, 위메프, 티몬]의 화장품 온라인 매출 비중은 전체 온라인매출의 37.6%로 예측된다. 이로써 8월 누적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7조7859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다. 여전히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게걸음이다.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 확대를
세포라 코리아가 ‘2023 핫 라이징 브랜드’로 6개사 제품라인을 공개했다. 새롭게 선보이는 브랜드는 ▲ LG생활건강의 비건 메이크업 브랜드‘프레시안’ ▲ 트루 허브 코스메틱브랜드 ‘빌리프’ ▲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케어놀로지’ ▲ ‘바니스뉴욕 뷰티’ 스파 기반의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엘비비’ ▲ 웰니스 브랜드 ‘데일리헤빗’ 등이다. 세포라 코리아 관계자는 “이번에 감각적인 콘셉트의 핫 라이징브랜드가 신규 입점되면서 세포라의 뷰티큐레이션이 더욱 다채로워졌다. 세포라 매장에서 직접 테스트하며 찬바람이 부는 환절기에 푸석해지는 피부를 완벽 케어해줄 제품을 경험해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세포라 코리아는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신규 입점 브랜드 구매 시 브랜드별 다양한 사은품을 증정 및 최대 2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아모레퍼시픽 공식 쇼핑몰 아모레몰은 11일, 라이브 방송만을 위한 ‘라이브 탭’을 새롭게 오픈한다. 아모레몰 라이브 탭은 국내 뷰티 브랜드사 최초로 선보이는 자사몰 라이브 쇼핑 전용 공간이다. 실시간 라이브 방송은 물론 지난 방송 보기와 방송 편성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방송별 매칭 상품 구매로 이어져 아모레몰 접속만으로 24시간 다채로운 콘텐츠 경험과 쇼핑이 가능하다. 아모레몰은 라이브 탭 오픈 기념 및 추석 시즌을 맞이해 11일부터 22일까지 ‘아모레몰 라이브 쇼(이하 아라쇼)’를 선보인다. 설화수, 아이오페 등의 화장품 브랜드부터 바이탈뷰티, 오설록과 같은 건강기능식품, 차 브랜드까지 아모레퍼시픽 대표 브랜드들이 행사에 참여한다. 아모레퍼시픽 e커머스 사업부 김경연 상무는 “라이브 탭의 모든 콘텐츠는 자사 라이브커머스팀이 전용 스튜디오에서 직접 기획 제작하고 있어 더욱 진정성 있다”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자사몰 기획 콘텐츠부터 짧고 재미있게 소비할 수 있는 숏플레이 콘텐츠까지 다양하게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8월 베타서비스 기간 아모레몰 방송 매출과 구매고객 수는 전월 대비 약 두 배에 육박하는 성과를 나타냈다고 한다.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통계청의 ‘7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7월 온라인 매출은 9856억원(+15.4%)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년(8545억원)의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가 이유다. 여전히 월 1조원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어 사실상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산업부의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대형 12대 업체의 화장품 온라인 매출은 1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통계청의 1100개 온라인쇼핑 운영업체보단 높게 나왔다. 이로써 1~7월 누적 온라인 매출은 5조 8046억원으로 전년(6조 5393억원) 대비 11.3% 감소했다. 온라인 매출은 코로나 이전 2019년 12.4조원(26%)을 기록한 이후 13조원(4.5%, ‘20) → 12.9조(-0.5%, ’21) → 11조원(-14%, ‘22)로 하락 추세다. 여전히 온라인 매출은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라이브방송, 인플루언서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 등 어느 거 하나 실적 상승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개인정보법 강화와 플랫폼간 경쟁과 정책 변화에 제때 대응하지 못한 점도 원인이다. 그렇다보니 브랜드사들도 마케팅비 집행에 소극적이다
최근 KOTRA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 트렌드로 △ Z세대 △ SNS, 숏폼 비디오 활용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마케팅 △ O2O 서비스 등을 꼽았다. 즉 전자상거래는 Z세대가 높은 친밀도와 익숙함으로 트렌드를 주도하며, 팔로워 10만명 이하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편리함과 제품 체험 후 구매 욕구를 위한 O2O 서비스가 주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때문에 글로벌 플랫폼의 특성(오픈마켓 or 직매입 방식), 풀필먼트 시스템, 충성고객 서비스(록-인 효과) 등을 고려한 운영 노하우를 활용한 브랜드사의 매출 확대 전략이 긴요해졌다. 이와 관련 한국화장품수출협회는 8월 31일 코엑스 317호실에서 ‘D2C 수출 플랫폼 운영 노하우’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인터참코리아 2023’ 행사 기간에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 동남아-LAZADA ▲ 글로벌-알리바바닷컴 ▲ 일본-Qoo10 ▲ 글로벌-Mylinkshop ▲ 베트남-틱톡 ▲ 미주-아마존 등 지역별 플랫폼 운영사의 노하우가 공개될 예정이다. ㈜브랜즈리퍼블릭 박영만 대표는 “매장만 오픈했다고 해서 판매가 되는 건 아니다. 세일즈에 필요한 건 마케팅과 오퍼레이션이다. 전세계 주요 플랫폼 전문 운영사
중국 정부는 자국민의 한국과 일본, 미국의 단체관광을 전면 허용한다고 10일 밝혔다. 중국문화여유국(中华人民共和国文化和旅游部)은 ‘3차 중국인 출국 단체여행 안내’ 공문에서 한국과 일본, 미국을 포함한 70여 개국에 대한 단체관광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국가 목록에는 아시아 12개국 아프라카 18개국 유럽 28개국 북미 8개국 남미 6개국 오세아니아 7개국 등이 포함됐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3월부터 사드(THAAD) 보복 이후 6년여 만에 중국인의 단체관광이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1월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하면서 태국과 인도네시아 등 20개국에 대한 단체여행을 허용한 바 있다. 이어 3월에는 네팔, 베트남, 이란, 요르단, 프랑스 등 40개국에 대해 자국민 단체여행을 추가로 허용했다. 한국을 비롯 일본, 미국은 1, 2차 단체허용 국가에 포함되지 않아 미·중 갈등으로 빗장이 언제 풀릴지 예상키 어려웠다. 중국 외교부는 발표에 앞서 주중 한국대사관에 허용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보도됐다. 12일엔 한중 여객선 운항이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모든 중국 비자 신청자를 대상으로 지문을 채취해왔는데, 이번에 여행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이 3개월 연속 증가세다. 기저효과 때문이다. 통계청의 ‘6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매출액은 9751억원(+3.6%)으로 나타났다. 전달(5월)에 비해서는 6.3% 감소했다. 다시 월 1조원대 매출 아래로 떨어지며 불황의 그늘이 짙어가고 있다. 이에 비해 산업통상부의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 4.3%, 온라인 7.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13개, 온라인 12개 대상 조사) 오프라인은 코로나19 기저효과로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준대규모점포 등 전 업태에서 매출이 증가했다. 온라인은 장보기, 화장품·티켓 등 소비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구매 비중(49.1%→49.8%)과 매출이 상승했다. 다만 온·오프라인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은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의 전체 구매건수는 증가했으나 구매단가는 대형마트에서 1.8%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3.1% 감소했다. 고물가가 소비자의 지갑을 닫게 했다. 특히 6월 화장품의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면서 18.3% 증가했다. 대형플랫폼에서 상반기 동안 10%대 증가율(10.2%~18.3%)을 꾸준히 기록 중이다. 12개 대형 플랫폼의 6월 온
LG생활건강의 어닝 쇼크 시즌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27일 발표된 엘지생활건강의 2분기 실적은 매출 1조 8077억원(-3%) 영업이익 1578억원(-27.1%)으로 나타났다. 이중 화장품사업만 놓고 보면 매출 7805억원 영업이익 700억원으로 각각 8.5%, 24.9% 감소했다. 부진 이유는 역시 중국 소비 회복 지연을 꼽았다. 따이공과의 결별 이후 면세 채널의 매출 급감과 중국에서의 역성장이 발목을 잡았다. 21년 분기별 1조원대 매출에서 22년 1분기 6996억원을 기록하며 반토막 이후 회복이 더디다. LG생활건강은 국내 내수 채널인 백화점, H&B 등 매출이 증가했지만 면세와 중국의 기저 부담이 벌써 6분기째 이어지고 있음을 실토했다. 중국 실적 하락은 현지에서의 K-뷰티 인기 하락과 더불어 엘지생활건강만의 브랜딩 구축에 실패한 게 아니냐는 의문을 달 정도로 매출 부진이 심각하다. 글로벌 브랜드가 하이엔드를 차지하고 로컬브랜드가 매스시장을 점령하는 양극화 시장에서 ‘후’가 어정쩡한 브랜딩으로 인기몰이에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럭셔리 브랜드라 자랑하는 ‘후’에 대해 “따이공이 사랑하는 브랜드가 중국에서 어떻게 럭셔리로 평가받겠는가”라는 따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