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정점(peak)에 오른 수치로 K-뷰티를 바라보면 오류에 빠질 수밖에 없다. 2년 전 화장품 생산실적이 감소(‘20년)하면서 K-뷰티 불황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마지막 피크가 될지, 아니면 새로운 정점으로 치달을지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국회 K-뷰티포럼 10차 세미나가 9월 2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국회 K-뷰티포럼 김상희 대표의원은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에서 규제 강화와 56%를 차지하는 로컬의 급성장으로 K-뷰티의 영향력은 좁아지고 있다. 다행히 K-Pop, K-Drama 등 한류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북미와 일본, 베트남 등 수출 비중이 증가하고 수출국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시장 상황을 조명했다. 이어 김 대표의원은 “중소·대기업이 자유롭게 연구하고 독특하고 특별한 아이디어의 혁신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규제개혁과 혁신이 필수”라며 “화장품산업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R&D 지원과 체계적인 품질 및 안전성 관리 등 정부의 종합 지원과 외국 규제 대책 마련 등의 노력이 중요하다”며 K-뷰티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을 보여줬다.
발제는 △‘화장품 산업 주도권의 변화’(하나증권 박종대 수석연구위원) △‘최근 위기의 화장품산업 현황과 한국 화장품 재도약을 위한 규제혁신’(대한화장품협회 이명규 부회장) △‘식약처 화장품산업 환경과 정책 동향’(김정연 화장품정책과 과장) 순으로 진행됐다.
박종대 위원의 화장품산업 밸류체인 분석은 빅4와 면세점 채널을 중심으로 분석, 중국/럭셔리/대기업→비중국/중저가/벤처로의 변화를 짚고 있다. 다만 K-뷰티 전체를 조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화장품산업은 70% 이상이 중소기업 전문 품목(중소벤처기업부의 2위 품목)이다. 내수(시판·ODM)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빅2+빅2가 해외 시장 개척에 미미한 점에 비춰 K-뷰티 인디브랜드의 미·일·러·아세안 입지 강화에 관심 부족을 드러냈다.
K-인디브랜드는 사드 보복 이후 중국에서 철수해 ‘22 上 중소기업 비중이 38.6%로 떨어졌다. 대신 지역 다변화에 나서 미국(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 71%)·일본(70.7%)·러시아(84.6%)·베트남(87.5%) 등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했다. 이른바 선진시장에서 인지도 확보 후 아시아·중동·러시아 등을 겨냥하는 ‘성미격세 (聲美擊世)’ 전술을 구사 중이다. 아마존 에이전시 급증과 각종 유통채널에서 K-뷰티 코스메틱존 확대는 K-인디브랜드의 다각화된 시장개척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 대한화장품협회 통계를 보면 ‘22년 1~7월 중국+홍콩을 제외한 수출은 외려 4% 증가했다.(전체 수출액 -11.3%) 중국 편중에서 수출다변화를 인디브랜드가 이끌고 있음을 확인시켜줬다.
K-뷰티는 대표 소비재로 2017년 사드 보복 직격탄을 맞았다. 유커가 급감하자 브랜드숍은 60%가 사라졌다. [브랜드숍 가맹점 수 8062개(‘16)→3311개(’21)]
유커 대신 따이공(소웨이상→대웨이상)이 그 자리를 차지하면서 팬데믹 시기 K-뷰티 실적을 견인했다. 면세점의 오픈런을 일으켰던 따이공들은 사드 보복과 팬데믹 와중에 강력한 바잉 파워를 획득, 탈세 및 수수료·리베이트를 요구하며 브랜드사의 수익성을 악화시켰다. 결국 마진율이 바닥에 이른 기업이 요구를 거절하자 따이공은 2021년 말을 기점으로 일거에 철수했다.(관련기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7168)
2017~2021년의 5년간 드러나지 않았던 숫자가 작년 말 정점을 기록하고 사그라졌다. 그 여파로 ‘22년 상반기 수출은 11% 감소했고 중국(-21%)·홍콩(-35%)은 급감했다.
그러고 보면 사실상 K-뷰티의 내리막은 2020년 생산실적이 6.8% 감소하면서 심각성을 드러냈다. 21년 생산실적이 9.8% 오른 것은 ‘19년 수준에 비해 불과 3900억원 오른 기저효과였을 뿐이었다. 따이공이 지탱한 비정상 경로 수치로 인해 2년여 불황이 잠시 지체되는 착각을 불러 일으켰다.
이제 피크에 오른 K-뷰티의 미래는 투 트랙(two track)의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 대외적으로 글로벌 시장개척에 나선 인디브랜드의 ‘성미격서(聲美擊世)’ 전략에 희망을 걸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대한화장품협회와 식약처가 추진 중인 ‘화장품제도 선진화 협의체’ 운영에 미래를 설계 중이다.
휘청거릴 수밖에 없는 K-뷰티의 중심을 잡아준 게 이명규 부회장의 ‘시장 중심 사후관리 규제 체계 전환’ 어젠다이다.
이 부회장은 “△약사법에서 파생된 의약품적 규제방식 탈피한 화장품 특성에 맞는 규제 체계 전환 △세계 최초·최고 혁신제품 발굴을 위한 ‘민간주도 시장중심 규제 환경 개선(신제품 개발보다 미투제품 양산 치중에서 탈피) △안전관리체계 강화로 전세계 소비자 보호 강화 △화장품 영업자 급증(책임판매업자 2만2709개+제조업자 4427개, ’21)으로 정부 관리 한계 등 규제 패러다임 변화가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기존 사전관리 체계 하에서 ▲기능성화장품 사전심사로 미투제품 양산, 제품개발 투자 및 역량 축소 ▲글로벌 인증과 부조화, 인증심사 유연성 저하 등 산업 경쟁력 상실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부회장은 “다행히 전세계 한류 열풍으로 K-뷰티의 재도약 기회가 도래했다. 문화 콘텐츠가 먼저 들어가야 K-소비재가 팔린다. 새롭게 시작되는 한류 열풍을 타고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로 제2도약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규제 혁신 건의사항으로 ①기능성화장품→사전 심사·보고 폐지 및 효능 기업실증 책임으로 전환 ②천연·유기농화장품→시장중심 민간인증체계로 전환 ③화장품 광고 민간자율기구 도입으로 시장 자율 조정 기능 강화 ④전세계 수출 대비 안전관리체계 기반 지원→안전성DB 구축 지원, 안전성전문가 육성 등 기반구축 지원 ⑤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춘 품질보증체계 구축 →국내 제조업체의 GMP 기준의 국제표준 GMP(ISO22716)로 일원화 등을 제안했다.
마지막 발제에 나선 김정연 화장품정책과장은 “올해 규제혁신 과제로 ▲천연·유기농 화장품 인증제도 민간주도 전환 ▲화장품 원료사용에 대한 보고 의무 폐지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 완화 추진 등을 오는 2023년까지 화장품 법령 개정 및 고시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화장품 산업에 활력이 되고 안전한 제품이 유통되도록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규제환경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다짐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상희 포럼 대표의원, 도종환·신현영·서정숙 참여의원 △오유경 식약처장·김상봉 바이오생약국장·김정연 화장품정책과장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장진영 실장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박상훈 실장 △대한화장품협회 이명규 부회장·장준기 전무·한국화장품수출협회 곽태일 회장·제주화장품기업협회 김미량 회장·광주화장품산업진흥회 전일승 회장 △아모레퍼시픽 김승환 대표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