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미국 스포츠계는 LA다저스 오타니의 홈런-도루 신기록에 열광 중이다. 22일 다저스타디움은 5만여 명이 몰려들어 9회말 오타니-베츠의 백투백 홈런으로 역전 승리의 환호성이 가득 찼다. 경기 시작 전 기자가 본 흥미로운 광경은 차에서 내린 가족들이 너도나도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뿌리고 서로 꼼꼼히 챙겨주는 모습이었다. 이렇듯 캘리포니아에선 야외에 나설 때 자외선차단은 필수다. 그런데 기능성과 사용감 좋은 한국산 자외선차단제가 MoCRA 시행 이후 잇달아 수입 거부 사태를 맞고 있다. ‘OTC 자외선차단제 수입 거부’ 본지 보도 기사(9월 4일자) 이후에도 한국산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미국의 수입 거부 사례는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8월 22일까지 자외선차단제 수입 거부는 169건이었다. 이후 9월 16일까지 불과 한 달도 안돼 자외선차단제 수입 거부 사례는 38건이 추가 확인된다. 기업별로 ▲ 한국콜마 20건 ▲ 스킨1004 12건(크레이버 2건 포함) ▲ 에이블씨앤씨 2건 ▲ 큐브미 아모레퍼시픽 2건 ▲ 씨앤티 드림 1건 ▲ 코스메카코리아 1건 등이었다. 이미 제조사 실사, 소명 등을 거쳤더라도 FDA의 PREDICT (Predictive Ris
유럽 의회는 ‘24년 2분기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을 발표하고, ESG 정보의 공시 의무화를 시행토록 했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직원 500명 이상의 상장기업, 은행, 보험사, 2026년부터 상장 중소기업 등 약 5만개 기업이 지속가능 경영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KSSB(Korea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초안을 발표(4월)하고 7가지 지표를 공시토록 하고 있다. 뷰티업계도 ESG 경영이 필수가 됐다. 우리나라도 대한화장품협회를 중심으로 올해 내 ‘지속가능위원회(가칭)’을 신설하고 ESG 동향 보고서 및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지속가능한 화장품 서밋(Sustainable Cosmetics Summit)이 10월 23~25일까지 프랑스 파리 크라운플라자에서 열린다. 행사는 에코비아 인텔리전스(Ecovia Intelligence)가 주관하며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산업의 ▲ 산업 발전 ▲ 친환경 재료 ▲ 블루뷰티의 잠재력 ▲ 지속가능성 계획 등 개별 세션과 지속가능한 포장에 대한 워크숍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그렇다면 지속가능한 화장품 산업은 무엇을 지칭하는 걸까? 글로벌 트렌드 분석, 산업별
스킨1004가 미국 최대 규모 화장품 유통업체 ‘얼타뷰티(ULTA)’의 온·오프라인매장에 대규모입점했다고 20일 밝혔다. 얼타뷰티는 미국 내 1,400여 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로컬 뷰티 전문 스토어로, 미국판 올리브영으로 불린다. 스킨1004는 온라인 론칭과 동시에 전체 오프라인 매장의 절반인 653개 매장에 입점했다. 입점과 동시에 현지 소비자들이 폭발적인 반응을 보임에 따라 내년 초 739개 매장 추가 입점키로 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K-뷰티 브랜드가 평균 10여 개 매장 규모와 달리, 스킨1004는 최초 입점부터 대규모로 바람몰이에 나설 수 있었다고 한다. 현지에서 높은 인지도를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스킨1004는 얼타뷰티 입점을 필두로 현지 유통 채널 확장에 주력할 방침이다. K-뷰티 전문 숍이나 온라인 채널이 아닌 로컬 뷰티 전문 스토어에 유통 판로를 확장한 것을 계기로 미국 메인 유통망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기대다. 얼타뷰티는 4,220만 명 이상의 멤버십 회원을 보유하며 대부분의 매출이 회원에게서 발생한다.
제8회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 접수가 9월 26일부터 시작된다. 시험은 10월 19일이며, 합격자 발표는 11월 19일이다. 시험 장소는 8개 지역으로 확대됐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제주) 시험은 2023년 개정된 기준에 따라 출제될 예정이다. (출제기준 및 내용은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license.korcham.net)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 시험문제 참고) 2020년부터 실시한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을 통해 조제관리사 6,181명이 배출됐다. 자격 취득자는 ‘책임판매관리자’로 취업이 가능하다.
‘24년 2분기 화장품 해외직구액은 2분기 9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8% 증가했다. 이처럼 플랫폼을 통한 화장품 직접 구매는 증가 추세다. ’23년 4분기 44.8% 급증했으며 ‘24년 1분기 27% 등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 소비자의 해외직구 붐은 ’23년 이후 증가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해외직구액은 처음으로 2조원대를 넘어섰다. 이중 화장품 비중은 4.7%다. 특히 알·테·쉬 등 중국 플랫폼이 본격 진출하며 ‘23년 4분기 화장품 직구는 45% 늘어났다. 그러면서 해외 화장품 사용 관련 소비자 불만도 늘어나고 있다. 식약처는 19일 해외직구로 화장품을 구매할 때 △ 파손 된 화장품 배송 △ 가품 △ 허위 과장광고 등의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사용시 주의를 당부했다. 즉 정식으로 수입되는 제품은 국내 화장품책임판매업자가 검사하여 안전기준 적합성을 확인한다고 한다. 하지만 해외직구 화장품은 별도 검사 절차가 없어, 피해 발생 시 보상이 어렵다는 것. 이에 따라 식약처는 해외직구 화장품 구매 시 주의사항으로 ① 화장품을 피부염 호전, 염증 완화, 지방분해 등 의학적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광고하는 경우 이에
리사이클링은 미국 뷰티시장의 주류 트렌드가 되고 있지만 플라스틱 재활용 수준은 미미하다. 때문에 플라스틱 재활용 표기에 대해 법적 규제가 확대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7호(미국 편)에서 인용) 비영리 환경 단체 비욘드 플라스틱(Beyond Plastic)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국가다. 재활용하는 수준은 5~6% 정도다. 소비자들은 삼각형 모양의 재활용 가능 표시를 보고 생활 쓰레기가 재활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연휴 전후로 미국에서 생활하다 보니 음식이나 1회용, 재활용 구분없이 몽땅 쓸어다 커다란 쓰레기통(garbage can)으로 직행하는 모습이 충격적이었다. 가정마다 일반 쓰레기(trash) 재활용(recycling) 화단용 나뭇가지 풀을 버리는 쓰레기(greenwaste only)의 세 가지로 구분해서 내놓으면 지정된 요일에 쓰레기차가 커다란 집게로 집어 수거한다. 재활용은 종이 박스나 플라스틱, 병 등을 주로 배출하지만 뒤섞어도 무방하다. 대신 매달 쓰레기처리비와 하수도 처리비가 높은 편이다. 미국도 예전보다 쓰레기 재활용이나 분리배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렇
아랍에미리트(UAE)로의 화장품 수출이 청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5월 29일 한-UAE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공식 서명 이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4년 상반기 대 아랍에미리트 화장품 수출은 7500만달러로 ’23년(8972만달러)의 84%를 달성할 정도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은 “아랍에미리트에서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산 화장품 수요가 늘어나며 수출품목 9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UAE CEPA 주요 내용 및 우리 수출기업 인식조사’) UAE는 한류 실태를 조사한 26개국 중 한국에 대한 전반적 인식 변화 1위,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 2위로 한류의 긍정적 파급효과가 두드러지는 국가다.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향후 뷰티 등 한국 콘텐츠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IIT는 분석했다. 한-UAE CEPA에 따라 화장품의 관세는 카테고리별로 ❶ 즉시 철폐: 색조(입술, 눈) 화장 및 매니큐어 ➋ 최장 10년간 균등 철폐: 기초화장, 선스크린 제품류 등으로 양허 했다. IIT는 ‘23년 기준 대 UAE 화장품 수출 97% 이상이 기타 제품류인바, 색조화장품류의 관세 즉시 철폐로 수출품목
항저우는 중국 화장품시장을 좌지우지하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메카다. 알리바바의 본사가 있으며 온라인 유통의 중심지다. 국제전자상거래 중심지, 중국 콘텐츠산업 중심지,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산업 중심지, 중국 사물인터넷 산업 중심지, 중국 온라인 금융 혁신 중심지, 중국 스마트물류 중심지 등 스마트 시티로서 명성이 높다. 이곳에서 9월 11~12일 ‘2024 CBE 항저우 국제미용박람회’가 열려 관심을 끌었다. 뷰티 한국관 주관사로 참가한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에 따르면 상하이CBE 주최사 인포마마켓의 바이문유한공사가 중국 동부지역에서 처음 개최한 전시회로, 남부와 북부를 연결하는 신유통망의 거점도시로 화장품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모습을 주도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전시회는 3대 비전으로 ▲ 신유통망의 확보 ▲ 신브랜드의 총 집결 ▲ 신과학기술의 접목을 내세우며 향후 중국 31개성의 우수 바이어 연계 추진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전시관 구성은 △ 1A관: 국제관, 인플루언서/라운지 △ 1B관: 중국 국내 트렌드관 △ 1C관: 혁신 원료 및 플렉시블 OEM관 △ 1D관: 프리미엄 포장재, 스마트설비관 등 다양한 전문 분야를 상징한다. 주최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