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중국발 중국 화장품시장 동향 보고서가 출간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글로벌코스메틱 포커스 5호(중국편)을 9일 펴냈다고 밝혔다. 중국 시장 변화의 특징 중 하나는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의 성장’. 특히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인 웨이상은 이용 비중이 급증해 2017년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손성민 주임연구원은 “웨이상의 주 고객층이 10-30대로 제품 품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어. ‘Made in Korea’보다 제품 품질에 중점을 둔 기획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가 색조화장품 카테고리의 성장이다. 중국의 신규 색조 제품 출시가 한국, 일본보다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2030(바링허우+주링허우) 세대의 선호가 반영됐다는 것. 손 연구원은 “립스틱/립글로스 품목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BB/CC크림 인기도 여전하다”고 전했다. 세 번째가 위생허가와 통관 등 비관세장벽(TBT)에 대응하는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브랜드 경쟁력 강화의 모색이다. 중국 SNS 인프루언서인 야쉬이(Yà xì)는 “지난 한한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요 한국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는 지속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분
중국의 상반기 최대 온라인 쇼핑 행사인 ‘618행사’에서‘미샤’가설화수, 라네즈를 제치고 타오바오·티몰 비비크림 부문 판매 1위를 차지했다. 618행사 단 하루 동안 타오바오와 티몰에서 미샤 비비크림은 29만 개나 판매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7% 성장한 수치다. 화장품 부문 전체에서는 11위, 거래 건수는 10만 건을 넘어섰다. 특히1위부터 10위 중 한국 브랜드 4개가 순위에 오른 것도 눈에 띈다. 1위 미샤에 이어 2위 애경은 23만9천개, 6위 라네즈 16만개, 8위 설화수 12만5천개의 판매고를 올렸다. 미샤 브랜드를 보유한 에이블씨엔씨 고재윤 중국TFT 팀장은 “이번 618행사를 통해 미샤가 화장품 브랜드로서 중국에서 가지고 있는 튼튼한 기반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투자로 중국에서의 매출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징둥 창립기념일을 기념해 2010년부터 시작된‘618행사’는매년 6월 1일부터 18일까지 열린다.징둥의 618행사 거래액은 1,199억위안. 한화 20조 1,744억원의 중국 거대 이벤트로 자리 잡았다. 특히 작년부터티몰, 타오바오, VIP 등 중국 주요 온라인 쇼핑몰도 동참하고 있다.
잇츠한불이 중국에서 신세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시대를 열 전망이다. 잇츠한불 중앙연구소가 ‘마스크 묶음을 위한 모양 복원 하이드로겔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대한 중국 특허(특허번호 : 201510976952.1)를 취득하면서 가능해졌다. 이번 특허는 자가 복원 능력이 우수한 회합성 고분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개발했다.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형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이수 현상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기존 기술보다 마스크팩의 탄성과 이수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다. 종합연구소 이근수 연구위원은 “한국산 마스크 제품에 대한 글로벌 시장 반응이 여전히 뜨겁다”며 “해당 특허 등록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성공한 마스크팩 제조 기술 특허다. 향후 중국 후저우 공장의 생산 능력과 연계해 중국 시장에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새로운 마스크팩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에스디생명공학(대표 박설웅) ‘SNP화장품’의 이즈보(一直播) 방송 누적 조회수가 3600만 건을 넘어섰다. 5일 SNP화장품에 따르면 작년 11월부터 중국 최대의 온라인몰 생방송 플랫폼인 이즈보(yizhibo, 一直播)에서 실시간 왕홍 방송을 진행했다. SNP 관계자는 “이즈보 방송 때마다 좋은 반응을 얻으며 누적 조회 수가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SNP화장품이 중국 SNS 마케팅을 적극 펼치는 이유는 90허우와 95허우가 중국 시장에서 주요 소비자 층으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올해 6월 왕홍 (小西al)이 약 1시간 동안 진행한 방송에서는 SNP 아쿠아 쿨링 선 스프레이, 바다제비집 아쿠아 아이패치, 바다제비집 W+ 아이크림을 소개해 이슈가 됐다. 특히 SNP 아쿠아 쿨링 선 스프레이는 분사하자마자 시원한 쿨링감과 옷에 묻어남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눈길을 끌었다. 바다제비집 아쿠아 아이패치와 바다제비집 W+ 아이크림을 왕홍이 눈가에 직접 시연하자 제품력을 눈으로 확인한 시청자들의 제품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는 게 SNP화장품 측 설명이다. SNP화장품 담당자는 “진행 방송 횟수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전체
따이공의 홍콩→심천 육상 이동경로가 중국 정부의 단속에 따라 물량이 급속히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 1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비수기인 6~7월이 2018년 최악이 될 거라는 섣부른 예상이 있다”며 “세계 최대 판매고를 자랑하는 한국면세점 업계에서 B2B 거래에서 전례 없는 세일, 프로모션을 내놓고 있는데, 이는 재고 물량 소진을 위해 매입가 이하 판매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홍콩→심천으로 유입되는 물량의 한 축이었던 상수(上水) 지역 주변의 기업형 따이공 물류회사들이 사업장 철수 및 정리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는 “중국 정부가 해외 수입물품의 정상 통관 또는 정상 세금 납세 제품만 유통시키기 위해 국경에서의 단속을 강화하고 있어서, 향후 따이공 유입 물량 감소가 예견된다”고 했다. 향후 대응 방안으로 한국 또는 홍콩발 해외직구 배송대행지로 물류 창고 이용을 검토하는 곳이 늘고 있다고도 했다. 따이공은 중국 사드 보복 중에도 유력한 면세점 구매처였다. 기업형 따이공들은 통관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도 국내 기업이 전혀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에 따이공과 국내 기업 사이에는 암묵적 양해가 있었다. 즉 본사 보다는 대리점을 이용해 보다 낮은
네오팜(대표 이대열)의 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아토팜(ATOPALM)’이 28일 중국 인민일보 인민망과 (사)한국마케팅협회가 주최한 ‘2018 중국인이 사랑하는 한국의 명품(YKSI)’ 조사에서 유아용 스킨케어 부문 1위 브랜드로 선정됐다. 29일 네오팜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중국 소비자가 많이 사용하는 상품 및 서비스 67개 부문에 걸쳐 진행됐다. 유아용 스킨케어 산업군 조사는 올해가 처음이다. ‘징동닷컴’, ‘타오바오닷컴’ 등 중국 사이트 판매량 및 면세점 3사 판매량을 통해 유아용 스킨케어 산업군 내 4개 브랜드를 선정했다. 한국 상품 및 서비스를 경험한 중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네오팜 관계자는 “아토팜이 ‘브랜드 만족도 비교’, ‘추천 의향’ 등의 조사 결과 총점 1,000점 만점에 824점을 받아 1위에 선정됐다”며 “2위 브랜드와는 약 100점 가까운 격차를 보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토팜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2018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민감성 스킨케어 부문 12년 연속 1위에 이어 중국 소비자에게도 인정받았다”며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영유아 스킨케어 브랜드로서 입지를 확고히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1:1 매칭 상담을 위한 '제1회 2018 글로벌 이커머스컨퍼런스(GECC)’가 오는 7월 11~12일 서울 양재동 aT에서 양일간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중국 전자상거래업체들이 대거 방한 국내에서 개최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민간협회인 ‘영웅회’(鹰熊汇, Eagel&Bear Union)와 대한민국 수출 플랫폼인 코리안몰(대표 최성훈)이 공동 개최한다. 2014년부터 매년 영웅회 주최로 열리는 중국 전자상거래 컨퍼런스는 작년에만 10여 차례에 걸쳐 약 1,000개의 기업과 연 5만여 명이 참가한다. 주요 참가 기업은 주최사인 영웅회를 비롯해 중국 종합쇼핑몰 쑤닝(Suning), 동남아시아 모바일 쇼핑 점유율 1위인 쇼피(shopee), 미국과 중동시장 진출로 연간 3조 원의 거래규모를 달성한 환치우이거우(环球易购), 중국 광동성 최대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난팡홈쇼핑(南方购物), 57개 국가 1496개 해외 브랜드의 중국 내 홍보를 대행하는 Brandyond 등 20여 개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이 각각 주제 발표를 한다. 이어지는 1:1 매칭 상담회에서는 20여 개 중국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이 참여해 B2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징둥(JD.com)이 K-브랜드 모조품 설명회에서 ‘모조품 대책 10계명’을 소개했다. 징둥은 지난달 설명회를 열고, 한국 브랜드 정품·모조품 식별방법을 홍보하고 온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모조품을 단속하는 행사를 가졌다. 중국에서 모조품은 자격서류 심사가 엄격한 B2C 온라인 플랫폼에 비해 C2C 플랫폼과 SNS 매장(위챗 등 SNS 활용한 상품 판매), 짝퉁시장(베이징 슈수이제(秀水街), 광저우 싼위안리(三元里) 등)에서 모조품 문제가 심각하다. 주요 대규모 플랫폼 B2C의 경우 중국법인에 대한 자격 심사, 중국 대리상·판매상 수권서(Power Of Attorney)를 요구해 안전하다. K-브랜드 모조품의 특징은 △단순 포장뿐만 아니라 향, 색, 효과까지 유사하게 재현 △신상품 출시에 맞춰 싱크로율 90%이상인 신상 모조품까지 등장한다. 따라서 모조품 예방방법으로는 ①정품 식별 QR코드를 포장에 부착해 중국 업체 직원, 소비자가 쉽게 식별 ②정기적으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조사 ③징둥 등 온라인 플랫폼, 현지 정부기관과 단속 추진 등이다. 징둥의 리정 매니저는 “징둥의 모조품 단속 및 관리 시스템은 100% 정품을 목표로 유통전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