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자상거래법은 여러모로 복합적으로 읽힌다. 먼저 중국 정부의 통제다. 중국상무발전 13.5규획을 통해 소비중심 성장을 내걸었지만, 기업이 주도하는 게 아니라 정부 주도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을 통해 디지털경제의 고삐를 확실히 틀어쥘 수단이 전자상거래법 제정이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을 통해 ‘첨단기술 굴기’를 추구한다. 핵심 부품과 원자재 자급률을 2015년 40%에서 2020년 70%로 끌어올려 중국 내 완벽한 서플라이 체인(홍색공급망)을 구축하려고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국가 간 분업이 아니다. ‘표준화’에 성공한 자가 독식하는 구조다. 중국의 빅데이터,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우리나라를 비롯 외국에게는 디지털무역장벽으로 작용될 게 뻔하다. 게다가 마윈 회장의 알리바바 포기는 ‘정부 통제’를 열어놨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한편으로 이를 저지하겠다는 게 트럼프가 미중 무역전쟁을 벌이는 이유다. 넷플릭스의 드라마 ‘블랙미러’는 소셜미디어의 점수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세상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은 평점이 모자라 비행기 예매에 실패한다. 병원 치료도 평점으로 결정돼 암 환자라도 점수가 안되면 수술을 받을 수 없다. 조지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회사 소유권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2일 보도했다. 갑작스런 은퇴 소식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뿐 아니라 그룹 소유권까지 내놓았다는 것. 중국 기업은 외자 유치를 위해 ‘가변이익실체(VIE; Variable Interest Entities)’라는 별도 ‘경영권 회사’가 있다. VIE는 해당 기업과 지분 관계는 없지만 계약을 통해 경영권을 행사하는 법인이다. 1990년대 말부터 중국 기업이 당국의 규제를 피해 VIE로 회사 경영권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중국 내 법인은 주로 사업 허가권과 영업권을 갖고, 역외 지주회사가 계약을 통해 사실상 중국 내 법인을 지배하는 구조다. 알리바바의 VIE는 알리바바의 중국 내 운영 허가권과 본토의 일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석달 전 금융당국에 VIE를 재조정하겠다는 서류를 제출하면서 마 회장의 VIE 소유권 포기 관련 서류도 포함됐다. 지난달 10일 마윈 회장은 공개서한에서 “창립 20주년 기념일이자 55세 생일인 내년 9월 10일 회장직을 장융 최고경영자(CEO)에게 넘기겠다”고 발표했다. 젊은 나이의 은퇴 소식에 정부와의 불화로 퇴진 압력을 받은
에스디생명공학(대표 박설웅)이 9월 28일 중국 항저우에서 SNP 신제품 론칭쇼를 진행했다. 이번 발표회는 중국을 비롯한 SNP화장품의 글로벌 파트너사와 바이어 등 350여 명 외 중국판 프로듀스101 참여자 가오추쯔(高秋梓), 구챈챈(顾茜茜), 슈팅팅(徐婷婷)과 같은 인플루언서 30여 명 및 미디어 관계자가 참석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최근 SNP화장품 중국 모델로 발탁된 톱스타 황징위(황경유, 黃景瑜)와 홍보모델 위촉식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참석한 바이어와 파트너사에게 향후 중국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할 계획도 강조했다. 에스디생명공학은 신제품 론칭쇼에서 기업 신뢰성과 연구소 발표를 통한 과학성을 입증했다. 에스디생명공학 양정은 연구소장은 베스트셀러 상품인 SNP바다제비집 아쿠아 앰플 마스크 (海洋燕窝补水安瓶精华面膜) 기술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퍼핏 바이오 셀 마스크 더블 브라이트닝(爱神菲双重亮白新肌面膜), 옥 수딩 앰플 마스크 (爱神菲玉舒缓安瓶精华面膜) 등 신규 주력 제품과 히든랩, 엠솔릭, 셀레뷰 등 브랜드를 소개했다. 에스디생명공학 관계자는 “회사설립 10주년이 되는 해에 K-뷰티 브랜드로써 중국에서 의미 있는 행사를 진행
3일 중국 신화통신은 여배우 판빙빙(范冰冰·37)이 실종 124일만에 400억원을 탈세해 1438억원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고 보도했다. 만일 기한 내 벌금을 납부하지 못할 경우 공안기관에 이송돼 형사처분을 받아야 한다. 판빙빙은 지난 6월 2일 자신의 웨이보에 글을 올린 후 사라졌었다. 그동안 망명설, 사망설, 고위 정치권 스캔들 등 각종 소문이 나돌았는데, 지난달 판빙빙이 세무당국의 조사를 받고 베이징 자택에서 두문불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었다. 중국 현지 사업자의 말에 따르면 9월 7일부터 판빙빙과 감독 황샤오밍 관련 방송 홍보가 금지됐고, 홍보문구도 모두 지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유통업계에서 판빙빙에게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왕홍 마케팅 비용 인상 가능성 때문이다. 중국 현지에 진출한 K대표는 “업체 입장에서는 마케팅 비용 투입에 대한 가성비를 고려해야 하는데, 왕홍 마케팅비가 만만찮은 게 고민이다. 판빙빙 영향으로 중국 정부의 관리가 엄격해지면 비용이 더 오르거나 가성비가 떨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왕홍 마케팅은 처음 웨이보를 기반으로 출발했다. 처음 몇몇 성공 사례가 업계에 전파되면서 마케팅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불과 1~2년도 안돼 가짜 팬 수
중국 정부는 2018년 11월 1일부터 고급화장품(수입 세후 가격이 10위안/㎖(g) 혹은 15위안/매(장)이상인 제품)의 세율을 10%p 인하한다. 10월 1일 대한화장품협회가 제공한 ‘중화인민공화국 수입 물품 수입세율표’ 조정안에 따르면 고급 화장품은 60%→50%로 조정됐다. 중국 정부의 사치품의 세율 조정은 지난 2016년 3월 16일에 이어 2년여 만에 개정된 것이다. 화장품은 담배, 주류; 귀중 장신구 및 진주, 보석류 및 옥석, 골프용품, 고급시계 등과 함께 종전 60%에서 50%로 조정됐다. 중국 화장품시장 내 럭셔리 및 프리미엄 제품군에 포지셔닝 한 설화수, 후, 에스티로더, 크리스찬디올, 시세이도, 로레알의 브랜드, MGPIN, OLAY, 메이블린 등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화장품 유통전문가인 바이위언후(白云虎) ‘여우이메이(优亿美)’ 대표는 “중국 화장품 소비자들은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독특하면서 품질 좋고 더 예뻐지고 싶은’ 업그레이드를 선호하며, 이 때문에 2021년 프리미엄 시장 성장률은 매스시장(4.6%)의 두 배에 이르는 연평균 8.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중국의 고급 소비재 시장은 지난 10년간 약
중국 화장품 유통전문가인 바이위언후(白云虎) ‘여우이메이(优亿美)’ 대표는 IBK증권 투자설명회 특강을 통해, 중국 화장품시장의 2대 특성을 ‘업 앤 다운 그레이드(‘Up & Down Grade’)’라고 소개했다. 먼저 바이 대표는 중국의 화장품 시장 동향을 ‘거변(巨変·radical)’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중국 화장품시장의 3대 성격을 ▲거대(巨大·Big) ▲복잡(复杂·complex) ▲도전(挑战·challenge)이라고 요약했다. 인구와 소비 잠재력의 사이즈, 시장 차별화와 소비 양극화, 유통채널의 이익 충돌과 소비자 구매행위의 변화 등을 각각의 핵심 2대 요소로 꼽았다. 업그레이드(upgrade) 측면에서 중국 화장품산업은 연평균 7.8%(2016~2021) 성장률로 중국의 경제성장률 6%대를 웃돌 전망. 시장규모는 2021년 5000억위안(80조원)으로 예측됐다. 바이위언후 대표는 “중국 화장품 사용자는 2020년 4억명에 이를 것이며 주요 소비층은 ▲도시거주자 ▲20대 여성 ▲연 수입 3만 위안 이상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시장 포지셔닝은 프리미엄(premium)과 매스티지(masstige)로 양분되며, 이에 따른 유통채널의 충돌은 슈
“한국 화장품기업이 중국 진출 시 적절한 유통 채널 선택이 성패를 좌우한다!” 이는 9월 19일 열린 IBK증권 주최 투자설명회에서 ‘중국 화장품 시장에 대한 이해’를 강의한 난징스란 화장품유한공사 백운호(Randy Bai, 白云虎) CEO의 말이다. 그는 P&G, 왓슨스 영업총괄, LD WAXSON 총경리를 역임한 화장품산업 관리 전문가다. 2009년부터 ‘화장품관찰보’ 등 각종 잡지의 칼럼 주필과 특약 강사를 맡고 있으며, ‘유통관리-7가지 유통 필수품’은 업계 베스트셀러로 유명하다. 설명회에는 증권전문가, 투자자, 화장품산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 경청했다. 중국 화장품산업은 연평균 7.8%(2016~2021) 성장률로 중국의 경제성장률 6%대를 웃돌 전망. 시장규모는 2021년 5000억위안(80조원)으로 예측됐다. 화장품 사용자는 2020년 4억명에 이를 것이며 주요 소비층은 ▲도시거주자 ▲20대 여성 ▲연 수입 3만 위안 이상으로 전망된다. 2021년 프리미엄 제품 증가율이 8.7%로 매스 제품 4.6%을 크게 웃돌아, 향후 프리미엄 제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됐다. 백운호 대표는 “소득 증가로 인한 중산층 확대가 프리미엄
글로벌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 ‘아리얼(Ariul)’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티몰(Tmall)’ 입점과 동시에 ‘아리얼’ 뷰티 단독 브랜드관(https://ariulglobal.tmall.hk/)을 20일 오픈했다. 아리얼은 티몰 입점을 시작으로 중국 내 브랜드 진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아리얼은 이번 단독 온라인 브랜드관 오픈을 기념해 30일까지 특정 상품 구매 시 정품 증정 및 주문 금액대별 쿠폰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또 티몰 글로벌에서 아리얼 ‘스트레스 릴리빙 퓨어풀 클렌징 폼' 구매 시, ‘스트레스 릴리빙 퓨어풀 클렌징 티슈’ 정품(최대 2개)을 선물한다. 아리얼 단독 브랜드관에서 199위안(약 32500원) 이상, 299위안(약 50000원) 이상 구매하면 각각 60위안(약 10000원), 100위안(약 17000원)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아리얼은 미국 CVS파머시(CVS Phamarcy) 5500여 개 매장 입점했다. 특히 미국 아마존에서 ‘세븐데이즈 페이셜 미스트’가 카테고리 내 MD’S PICK에 선정됐다. 또 미국 메이시스 백화점, 프랑스 쁘렝땅 백화점 입점은 물론 일본 3대 버라이어트 숍, 태국 ‘이브앤보이’에 진출했다. 아리얼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