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발표(2016년 7월 8일) 이후 335일이 지났다. 중국의 사드 보복 시나리오는 치밀하며 계산적이다. 여론전-인적 교류 제한-경제 보복 등이다. 정경일치의 합작으로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유리한 방향으로 몰고 간다. 중요한 제일순위는 자국내 여론 동향이며 국익 우선을 놓고 힘(정치·외교·군사)으로 상대국을 압박한다.
그동안 중국 정부의 대응은 등가 대응(tit-for tat) 원칙을 따랐다. 사드 배치가 한 단계 나가면 중국의 보복도 한 단계 수위가 높아졌다. 최초의 보복은 ‘여론전’이다.
중국의 언론은 ‘사실’ 보다 ‘진실’을 전달하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그런데 그 진실은 ‘무오류의 공산당이 결정하는 진실’이다. 중국 공산당 언론교육 문건의 내용이다.
여론전은 관영매체(환구시보 등)를 동원해 전쟁상황을 가정한 사드 폭격론까지 들먹이며 심리전을 펼친다. 막말은 기본이다. 이번에는 인민일보까지 나서 한국인 기고문을 실어 ‘이이제이(以夷制夷)’ 효과를 노리기도 했다.
이후부터는 인적 교류를 제한했다. 중국 비자 받기가 어려워졌고 중국 주재 한국대사는 인터뷰도 취소됐다. 행사 참석은 물론 중국 유력인사의 한국 방문 취소가 줄을 이었다. 3월 15일부터는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 모객이 전면 금지됐다. 연예인들도 행사 취소, 드라마 방영 금지 등 한한령은 언제 끝날지 알 수가 없다. 롯데마트는 전면적인 보복으로 결국 철수를 결정하고 골드만삭스를 주간사로 매각에 나섰다.
한국이 대선으로 접어들면서 중국은 희망을 걸었다. 야당의 변화를 기대했다. 이 때문에 중국 학자들은 한국을 찾아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한·미동맹을 이유로 사드 임시배치를 결정함으로써 중국의 마음을 되돌릴 수 없었다.
다만 중국의 전인대가 끝나는 10월 중순 특사단을 파견 연내 한중 정상회담과 사드보복 철회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C대표는 “사드 이슈가 고착화되면 소비자도 점차 느끼게 된다. 이럴 경우 한국산 화장품까지 매출 하락이 염려된다”고 말했다. 또 K전무는 “위생허가를 받고 안받고에 따른 매출 차이가 유통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중국이 위생허가를 지연시키거나 다렌과 청도 등의 보세지구 반입이 안되고 있는 등 사드 영향은 분명 있다”고 전했다.
최근 기자가 만난 B사 임원은 “사드 영향으로 매장 매출 부진이 걱정스럽다”며 “어려움 타개를 위해 온라인 마케팅 강화로 방향을 잡았지만 사드로 인해 한번 추세선이 꺾여버리면 이를 회복하기가 무척 힘들다”고 덧붙였다.
최근 산업통상부가 WTO 제소를 검토하자 하룻만에 청와대가 이를 제지하고 나섰다. 사드 이슈는 11월에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에도 북핵문제와 함께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 강 대 강의 대치가 계속되고 있다.
K뷰티의 입장에서는 ‘모멘텀’이 필요하다. 외교 문제는 어쩔 수 없지만 K뷰티의 경쟁력을 위해 내실화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 올해는 한‧중 수교 25년이 되는 해다. 한‧중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사이다. K뷰티 업체들은 중국 기업들과 물밑 협력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 중국 지도자가 자주 말하는 게 ‘구동존이(求同存異)’다.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가운데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이견을 좁혀나가는 것을 말한다.
K뷰티가 타격을 입으면 중국측 거래선도 마찬가지로 피해를 입는다. 양쪽 기업인이 ‘구동존이’로 끊임없이 협력하고, 사드 이후를 준비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