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018년 1분기 경제성장률이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3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6%대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소비뿐 아니라 수출경기의 빠른 회복세가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중국 경기가 좋다는 뜻이다. 최근 보아오 포럼에서 시진핑 주석은 △금융시장 개방 △수입 확대 △투자환경 개선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등 4대 개방화 플랜을 지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가 주목할 점은 중국 경제의 개방화 조치가 △중국 내수시장 진출 환경 개선 △해외직구 등 온라인 기반 쇼핑 여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화장품 수출 기회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소비시장 육성을 위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는 GDP 총액 대비 소비 비중이 44.3%를 기록하며 경기를 부양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연간 소매판매 총액은 2017년 36억 6261억위안(약 6226조원)으로 2013년(24조 2843억위안, 약 4128조원)에 비해 51% 증가했다. 이에 따라 연간 소매판매액의 GDP 비중은 40.8%(‘13)→44.3%(’17)로 상승했다. 인터넷, 모바일의 보급과 함께 온라인 쇼핑규모도 연간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발표한 ‘당과 국가기구의 개혁을 심화하는 방안’에 따른 후속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직제 개편 내용은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을 설립(약품, 화장품, 의료기기의 등록을 책임지고 감독관리) △국가질량검험검역총국의 출입국검험검역관리 직책 및 인원의 해관총서에 편입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 국가질량검험검역총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을 통합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설립 등이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2018년 4월 16일부터 해관총서가 기업의 해관신고, 검역신고에 대한 자격을 통합한다는 공고를 발표했다. 4월 20일부터는 해관을 통해 해관 수출입 화물 등록을 진행하면 해관신고와 검역신고 자격을 동시에 취득하게 된다. 경과 조치로 기존 해관에 해관 신고 등록, 상검국에 검역 신고 등록을 한 기업의 신고 자격은 여전히 유효하다.
중국 국무원이 오는 5월 1일부로 증치세(增値稅) 세율을 1%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제조업 부문은 기존 17%→16%로, 교통·운송·건축 등 부문은 11%→10%로 인하하게 된다. 종전 6% 세율은 유지한다. 이번 증치세율 인하 조치에 따라 2400억위안의 감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증치세란 중국의 주요 간접세로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에 해당한다. 증치세는 상품 판매, 용역 제공, 해외로부터 상품 수입 시 발생하며 모든 업종에 적용된다. 전 단계 매입 세액 공제방식이다. 예를 들어 B사가 A사로부터 물품 구입 시 1000위안을 지불했다면 1000×16%=160위안을 매입증치세로 지불한다. B사가 C사에 판매할 때 1200위안을 판매 대금으로 받았다면 1200×16%=192위안을 매출증치세로 별도로 징수해야 한다. B사는 192위안을 수령하고 160위안을 지불했으므로 납세액은 32위안이 된다. 증치세 세금계산서는 세무국에서 인증한 세금계산서 위조방지 전산시스템을 통해 발행한다. 세금계산서를 수령한 납세 의무자는 발행일로부터 30일 내에 세금계산서의 진위여부를 관할 세무국을 통해 확인 받아야 한다. 소규모 납세의무자는 증치세 관리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생활뷰티기업 애경산업(대표 이윤규)의 대표 화장품 브랜드 AGE 20’s(에이지투웨니스)가 중국 온라인 쇼핑몰 티몰이 주관한 ‘티몰 글로벌 TG 1000 파트너 서밋’에서 ‘2017년 티몰 국제 뷰티 부문 인기제품상’을 수상했다. 티몰 글로벌은 2008년 알리바바 그룹이 시작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1만8천여 개의 브랜드가 입점한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이다. AGE 20’s는 2017년 매출, 인기도 등 다양한 기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인기제품상’에 선정됐다. 특히 에센스를 머금은 독특한 제형과 촉촉함, 커버력을 모두 갖춰 중국 현지에서 ‘애경팩트’라고 불리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애경산업 베스트셀러 ‘에센스 커버팩트’는 입생로랑, 제이준코스메틱, 샹프리 등 다양한 국내외 유명브랜드가 입점된 티몰 뷰티 카테고리의 파운데이션 부문에서 작년 한 해 압도적인 인기를 끌었고 현재 판매량 1위에 랭크됐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작년 9월 중국 상해 현지법인 ‘에이케이(상해)무역유한공사’를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중국 시장을 공략 중이다”라며 “AGE 20’s, 루나 등 화장품 브랜드를 앞세워 중국 내 화장품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
SD생명공학(대표 박설웅)의 SNP화장품이 티몰이 선정한 2017 뷰티 부문 ‘Top10 브랜드’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3월 21일과 22일 양일간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티몰 글로벌 TG 1000 파트너 서밋’은 중국 알리바바 그룹 대표 온라인몰 ‘T-mall’이 주관하는 글로벌 브랜드 시상식이다. 1000개의 글로벌 협력 파트너를 대상으로 개최되며 2017년 티몰 국제관의 사업을 돌이켜보고 2018년 계획을 발표도 준비됐다.SNP화장품은 이번 서밋에서 ‘2017 뷰티 부문 TOP 10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TOP 10 브랜드 시상식은 티몰 국제관의 평가기준에 의해 해외 플래그십 매출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부문별 상위 10개 브랜드만 선정하고 있어 공정성과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SNP 관계자는 “SNP화장품은 글로벌 토탈 스킨 솔루션(Global Total Skin Solution) 기업으로 중국 시장에서 크게 도약하고 있다"며 "우리 회사만의 R&D 경쟁력이 Top 10 브랜드 수상과 성장의 원동력이 됐다.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모든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 철회를 밝힘에 따라 중국인 단체관광 정상화가 곧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작년 3월 한한령 이후 1년여 만에 화장품업계의 실적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4월 2일 오전 10시 현재 화장품 업종은 전 종목 상승하며 6%대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3월 30일 중국 시진핑 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양제츠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은 문재인 대통령을 면담하고 “중국은 문 대통령의 관심 사항을 매우 중요시한다”며 “관련 사항은 이른 시일 내에 가시적 성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양 위원은 “대통령께서는 이를 믿어 주시기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양 위원이 말한 “믿어 주시기 바란다”는 표현은 중국 지도부가 사용하는 최상위 의사 표시라고 한다. 문 대통령은 작년 12월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의 전면적 정상화를 합의했지만 실제 중국은 이를 시행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의 관심 사항은 △중국인 단체관광 정상화 △롯데마트의 원활한 매각절차 진행과 선양 롯데월드 프로젝트 재개 △한국기업의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지원 등이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한국의 미세먼지가 국내적 요인도 있지만 중국
한국과 일본의 화장품 빅4 중 LG생활건강과 시세이도는 웃고, 아모레퍼시픽과 가오가 운 이유는? 바로 중국인 관광객을 만족시킨 ‘프레스티지 브랜드’ 때문이었다. LG생활건강은 럭셔리 브랜드인 후와 숨이, 시세이도는 프레스티지 퍼스트 4대 브랜드인 시세이도·끌레 드 뽀 보떼·나스(NARS)·입사(IPSA)가 실적 개선의 주인공 브랜드였다.(CNC NEWS 3월 20일 보도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3197) 두 회사의 프레스티지 브랜드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고급 화장품을 싹쓸이 했다. 또 중국에 돌아가서도 품질에 만족해 재구매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 신장이 이뤄지고 있어, 올해도 견조한 성장이 예상된다. LG생활건강의 후+숨은 1.8조원의 매출로 전체 매출액 중 55%를, 시세이도는 4대 브랜드가 전체 매출액의 42%를 올렸다. 이에 따라 프레스티지 브랜드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끄는 중국의 고급 소비재 시장이 주목된다. 중국 현지에서도 로레알과 유니레버는 상승세, 아모레퍼시픽과 에스티로더는 하락세다. 그만큼 고급화장품 브랜드의 경쟁이 치열해 춘추전국시대라는 분석이다. 코트라 상하이 무역관
최근 푸동 신구에서 시범 사업인 수입화장품 등록관리제의 10개 도시 확대 실시 소식이 전해지면서 “위생허가 없이 들어간다”는 잘못된 정보가 전해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북경매리스 이용준 한국대표는 “작년부터 시행 중인 푸동 신구 시범사업이 마치 위생허가 없이도 중국 유통이 가능하지 않느냐는 문의가 잇달아 이를 설명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현행 시범사업은 등록기간이 1개월 이내로 단축됐을 뿐이며, 기존 사전 심사가 사후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며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위생허가는 반드시 필요하며 절차는 동일하다”고 강조했다. 작년 1월 17일 중국 CFDA는 ‘상하이시 푸동신구 수입 비특수용 화장품 등록관리제 실시에 관한 공고(关于在上海市浦东新区试点实施进口非特殊用途化妆品备案管理有关事宜的公告, 2017년 제7호)’와 ‘상하이시 푸동신구 수입 비특수용 화장품 등록관리세 실시 방법 (잠정)에 관한 공고(总局关于发布上海市浦东新区进口非特殊用途化妆品备案管理工作程序(暂行)的公告, 2017년 제10호)를 발표하고, 이 조치는 2017년 3월 1일부로 정식 시행되며 2018년 12 월 21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조치는 궁극적으